제주도 이야기-혼인지 전설

혼인지는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혼인지로 39-22에 자리 잡고 있는 기념물 입니다. 1971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혼인지는 약 500평 정도의 큰 연못으로 자연적으로 생성된 연못입니다. 특히 수국 개화지로 유명하기도 하며 입장료가 따로 없는 공개된 관광지라서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입니다.

전통혼례관, 3공주 추원각, 혼이지 카페 등이 운영되고 있고 연못 주위에 수국이 많이 핀 시기에는 웨딩 스냅 촬영 장소로도 인기가 많았답니다.

제주도 혼인지는 3신인과 3공주의 전설로 유명한 곳이기도 합니다.

제주도 혼인지 항공뷰


혼인지 전설, 3신인

옛날 옛적 제주도에는 아름다운 자연이 펼쳐져 있었지만 아직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순수한 땅이었습니다. 이 땅을 비옥하게 하고 사람들의 생활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하늘의 신은 특별한 임무를 맡은 세 명의 신인을 보냈습니다.

이들은 바로 고을나(高乙那), 양을나(梁乙那), 부을나(夫乙那)라고 하여 고, 부, 양 이라고 불렸습니다.

하늘에서 내려온 고, 부, 양 세 신인은 신들의 축복을 받아 강하고 지혜로웠으며 그들의 임무는 이 땅을 개척하고 사람들에게 생활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었습니다.

세 신인은 제주도의 중심부에 자리를 잡고, 주민들에게 농사짓는 법, 어업을 하는 법, 그리고 집을 짓는 법 등을 가르치며 이 땅을 풍요롭고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혼인지 전설, 3공주

어느 날, 세 신인은 한라산으로 올라가 경치를 구경하던 중 동쪽 바다를 바라보니 파도에 밀려 해안가에 안착한 나무 상자를 발견합니다. 세 신인이 해안가로 내려가 보니 나무 상자는 오색 빛깔로 빛나는 범상치 않은 나무 상자였습니다.

세 신인이 나무 상자를 열어보니 알 모양의 둥근 옥함과 사자(使者)가 있었습니다. (사자는 명령이나 심부름을 하는 사람)

사자는 세 신인에게 자신은 동해 벽랑국에서 온 사자라고 소개하며 자신의 임금을 대신에 전할 말이 있다고 했습니다. 벽랑국의 임금은 슬하에 세 딸을 두고 있었는데 혼기가 차도록 마땅한 배필을 만나지 못해 혼례를 올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3신인이 하늘에서 내려와 나라를 다스리며 주민과 나라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으나 배필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자신의 3공주를 보낸 것이었습니다.

사자가 옥함을 열어 세 신인에게 보여주니 그 안에는 절세미인인 세 명의 공주가 담겨 있었습니다. 세 공주는 모두 미모와 기품으로 고, 부 , 양 세 신인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혼인지 전설, 혼례

세 신인과 세 공주의 만남은 큰 축복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들은 곧 결혼식을 올리기로 결정하고, 결혼식을 올릴 장소로 혼인지를 선택하였습니다.

혼인지는 조용하고 아름다운 연못으로 그 주변은 푸른 숲과 맑은 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성한 분위기가 가득한 곳이었습니다.

결혼식 당일, 하늘은 맑고 태양은 밝게 빛났습니다. 자연의 모든 생명체가 이 성스러운 결혼식을 축하하듯 새들은 아름다운 노래를 불렀고, 꽃들은 만개하여 축복의 향기를 뿜어냈습니다.

혼인지 연못가에는 제주도의 주민들이 모여들어 이 경사스러운 순간을 함께 기뻐했습니다. 신들의 축복 속에 고, 부 , 양 세 신인은 각자 그들의 공부와 혼례를 올렸습니다.

결혼식이 끝난 후 세 신인과 세 공주는 혼인지를 중심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했습니다. 그들은 자손을 낳고, 그 자손들은 다시 자손을 낳아 제주도 전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세 신인의 지혜와 공주들의 아름다움은 후손들에게 그대로 전해졌고, 이들은 제주도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 나가며 섬을 번영하게 만들었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혼인지와 관련된 전설은 잊혀지지 않았습니다. 제주도 주민들은 이 신성한 결혼식과 그로 인해 시작된 역사를 소중히 여겼고, 혼인지는 제주도의 기원과 문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오늘 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혼인지를 찾아와 그 전설을 되새기고, 제주도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혼인지는 단순한 연못에서 그치지 않고 제주도 주민들의 자부심과 뿌리를 상징하는 곳이기도 하며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제주도의 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doopedia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